이 책은 신뢰받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며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일깨워 주는 책이다. 꾸준히 신뢰를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학교들에게 필요한 책이다.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있는 학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책이다. 각각의 미덕을 증진시키고 또 통합하기 위한 노력을 하다보면 학교조직의 신뢰 수준은 저높이 올라가 있을 것이다. 이는 궁극적인 목표인 ‘좋은 학교’에 한걸음 더 다가가도록 할 것이다.
1부 유능학 학교의 미덕 미덕 1. 전문성 Expertise 전문적 관심 실천적 지식의 정련 감성적 능력의 고양 전문성의 공유 미덕 2. 효율성 Efficiency 성과의 관리 실행력의 개선 살아있는 규칙 자원의 경쟁력 2부 건강한 학교의 미덕 미덕 3. 성실성 Sincerity 정직의 문화화 공정성의 확보 일관성의 준수 미덕 4. 역동성 Dynamics 잠재 능력의 발휘 혁신 지향 활력의 기반 미덕 5. 개방성 Openness 원활한 정보 유통 뛰어난 소통 능력 비평의 격려 다양성의 추구 미덕 6. 정체성 Identity 다름의 추구 탁월함의 관리 생동하는 정체성 미덕 7. 호혜성 Reciprocity 존중 문화의 정착 협력의 모색 호혜 원칙의 실천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한 홍 진 학교 혁신 전문가 성균관대에서 공부한 뒤 삼성전관에서 근무했다. 서울대에서 교육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아주대, 한국외대 교육대학원에서 시간강사를 했다. 일본 나고야대(名古屋大學)에서 외국인 연구원과 미국 조지아대(UGA)에서 비지팅 스칼러를 역임했다. 현재 안산디자인문화고교에 재직중이며, 한국직업교육전문가 포럼(KVEEF) 공동대표, 한국상업교육학회 상임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산업교육실습의 이해와 실제(2003, 교육과학사, 공저), 미래학교의 5가지 기반(2009, 두남, 2010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학교의 미래를 바꾸는 비전혁명(2010, 두남,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실습 가이드(2012, 교육과학사, 공저)가 있다. 논문으로는 「기업교육 훈련성과의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상업계 고등학교 학교 효과성 측정 도구 개발」, 「실업계 고등학교 조직 효과성과 관련 변인의 인과적 모형」,「무역학 교육 서비스 품질 측정 도구 개발」, 「특성화고 교사의 조직몰입과 관련 변인 간의 인과적 모형」외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