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사회가 고도화되어 현대사회가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며 국제화, 정보화, 지식화에 의해 변화의 속도가 빨라짐으로써 이에 대한 적응도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세계적인 대기업들이 도산 직면에 처해 있으며 신문에 보도되는 것처럼 세계 유수의 기업들의 파산 등 기업의 도산에 관한 뉴스는 이제 더 이상 우리를 깜짝 놀랄게 할 만한 뉴스는 아니다. 지금이야 말로 이러한 외부환경과 관련하여 경영학에서도 다원화사회의 경영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학문적인 재정립이 필요한 시기라 하겠다. 현재는 정치, 경제, 사회, 국제환경 등의 요인이 기업경영에 직접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종업원, 소비자, 지역사회 등의 스테이크 홀더(이해관계자집단)의 사고와 행동의 변화가 기업경영의 간접적 요인으로 등장하여 경영자의 기능이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또한 요즈음 불황의 연속으로 인하여 조기퇴직이니 명예퇴직 등으로 평생직장이 평생직업으로 변화되는 현상에서, 기업은 물론 사회 전체가 어둡게 되어 경영의 효율성이 문제되기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그 보다는 더욱 중요한 것이 기업의 효과성이다. 요즈음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사회적 기업을 보면서도 효율성만 중시하던 경영학의 새로운 면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교재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기업이 계속 성장하려면 어떻게 대응하여야 하며 경영관리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하는가를 중심으로 집필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서는 이러한 의미에서 경영의 필요성과 기업의 성장전략을 중심으로 경영자와 종업원, 고객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전략 등을 중심으로 상호공존할 수 있는 기업경영이 이루어지도록 집필되었다. 물론 본서가 새로운 기법으로 접하고 있다고 하나 완벽하다고는 할 수 없다. 이러한 것은 강호제현들의 지적과 비평을 받아 다시 개정할 때 보완하려고 한다. 본서는 기업의 성장을 다소 이론적이며 추상적이라고 사려될지 모르나 기업의 효율성과 사회적 책임의 완수라는 미래지향적 사고로 임하였다. 특히 저자들이 경영학을 가르치면서 평소 느꼈던 점을 보완, 정리하였으므로 경영를 처음 접하는 경영학도들에게 필요한 경영학의 원론에 중점을 두었다.
제l부 경영일반론 제1장❙경영의 등장 제2장❙경영사상론 제3장❙현대기업의 개념 제4장❙현대기업의 경영자 제5장❙기업형태 제6장❙기업집중 제2부 경영관리론 제1장❙경영관리 일반 제2장❙계획화 제3장❙조직화 제4장❙지휘화 제5장❙통제화 제3부 경영직능 제1장❙인적자원관리 제2장❙생산운영관리 제3장❙마케팅 관리 제4장❙재무관리 제5장❙국제기업과 국제경영 제4부 현대기업과 경영 제1장❙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경영자 제2장❙경영혁신 제3장❙현대기업의 가치경영 부 록
이덕훈 일본 게이오대 상학박사, 한남대학교 학술정보처장, 학생처장, 기획처장 역임 (現) 한국전통재래시장학회장한남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강신성 서울대 경영학박사, 한남대학교 경상대학장 역임, 한남대학교 교수협의회장 역임 (現) 한남대학교 경영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