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가 출간된 지 13년이란 세월이 흘렀으며 다행히 여러 독자들이 많이 활용하여 주심에 힘입어 개정 10판에 이르게 되었다. 이번 개정판은 기존 목차의 기본 틀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미처 교정하지 못했던 부분들과 신설 또는 변화된 사항들을 새로이 보완하였다.
아울러 페이지 수가 너무 많아서 독자들의 부담이 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370쪽 내외의 분량을 계속 고수하면서 꼭 필요한 내용만을 본서에 삽입하고자 노력하였다.
제1부는 무역실무의 기초로 초심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무역의 개요와 무역관리제도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제2부는 무역실무의 이행으로 무역절차 과정을 중심으로 거래관계의 개설, 무역계약, 신용장, 무역운송 및 물류관리, 무역보험, 무역대금결제와 무역금융 등을 설명하여 기본적 개념을 정립하도록 하였다.
제3부는 무역실무의 관리로 무역자동화와 전자무역에 관한 개요와 사후절차로서의 무역클레임 및 상사중재, 환위험 관리를 설명하였다.
이번 개정 10판이 앞으로 독자 여러분의 격려와 함께 거듭나기를 바라면서 기회가 있을 때마다 좋은 교재가 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수정과 보완을 약속드린다.
끝으로 본서가 대학에서 무역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지식 습득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무역업계에 종사하는 실무자에게 참고서로 도움이 되는 기본서가 될 수 있다면 저자로서는 더 없는 영광이 되겠다.
제1부 무역실무의 기초 ❏
제1장 무역의 개관 19 제1절 무역의 의의 / 19 1. 무역의 개념 / 19 2. 무역의 특징 / 20 3. 무역 관련 통계지표 / 21 제2절 무역의 의의 / 24 1. 거래형태에 의한 구분 / 24 2. 결제방식에 의한 구분 / 30 3. 특수한 거래형태에 의한 구분 / 31 제2장 무역관리제도 35 제1절 무역관리의 개관 / 35 1. 무역관리의 의의 / 35 2. 무역관리의 방법 / 36 제2절 무역거래 자율화 / 38 1. 무역거래자 고유번호의 신청 및 부여 / 39 2. 전문무역상사 / 41 3. 전자무역 전문서비스업자 / 41 제3절 수출입 공고와 승인 / 42 1. 수출입 공고 / 42 2. 수출입 승인 / 47 제4절 무역 관련 법규와 기관 / 49 1. 국내 무역 관련 법규 / 49 2. 국제 무역 관련 법규 / 55 3. 무역관리 기관 / 60
저자는 보성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경상대학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트포드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무역학과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6년부터 Pacific Stars & Stripes (성조지) 신문사 취재기자를 거쳐 삼성, SK, 두산에서 수출입 및 마케팅 업무를 담당하였으며, 현재 단국대학교 상경대학 무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무역상무학회, 한국관세학회, 한국통상정보학회, 국제e-비즈니스학회 등에서 부회장을 역임하고 한국무역학회 부회장 및 국문지 편집위원장,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무역실무 및 국제마케팅에 관련하여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다수의 국․영문 연구논문이 실렸고, 저서로는 사이버 무역론(형설출판사, 2002), 글로벌 무역학원론(도서출판 두남, 2006), 전자무역론(도서출판 두남, 2012)을 발간한 바 있다.